행안부, 중앙부처·17개 시도에 공문 후 일부 부처 접속 제한
LG유플러스, 한수원 등 기업·공공기관도 접속 차단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가 이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 속에서 외교와 안보, 통상 분야 정부 부처들이 5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방부는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 한해 딥시크 접속 차단 조치를 했고,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도 자체 판단에 따라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했다.
이들 부처는 외교와 안보, 통상 분야에서 민감한 기밀 정보를 많이 취급하는 곳들이다.
정부 부처들의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는 범정부 차원에서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이뤄졌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전날(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내용이 담긴 ‘AI관련 보안 가이드 라인’ 제목의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딥스크를 명시적으로 지칭하지 않았으나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문에는) 챗GPT와 딥시크 등 생성형 AI를 업무 현장에서 사용할 때 유의해달라는 내용을 담았다"고 말했다.
딥시크는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 등을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호주와 일본, 대만 등 여러 나라에서는 딥시크 사용 규제에 나섰다.
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한 바 있다. 딥시크의 회신은 아직 오지 않은 상태로 알려졌다.
국내 기업 등 민간 영역에서도 딥시크 사용 금지 사례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오픈AI와의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한 카카오는 최근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카카오의 딥시크 이용 금지령은 국내 대형 정보기술(IT) 기업 중 첫 번째 사례다. 딥시크가 이용자 기기 정보와 IP,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전방위적으로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등 보안 문제 때문이다.
LG유플러스도 이날 딥시크 사용 금지에 대한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했다.
공지에 따르면 ,...
< 이어서 글 전체보기 >
정부, 중국AI 딥시크 접속 차단…카카오 등 민간도 '금지령' < 경제와 산업 < 기사본문 - 뉴스버스(Newsverse)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해유전 140억 배럴의 꿈', 결국 윤석열의 사기극? (0) | 2025.02.11 |
---|---|
김용원의 막말 난동 "헌재 부숴 없애야"…'인권위의 치욕' (0) | 2025.02.11 |
홍장원, 윤석열 앞에서 "尹,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 증언 (0) | 2025.02.06 |
[단독] '중국 간첩 체포' 주장 해외서도 망신…AFP "명백한 가짜뉴스" (0) | 2025.02.06 |
언론사 단전·단수 尹이 직접 지시…'이상민 거짓말' 탄로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