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이재명·한동훈 가두려한 B1벙커 가봤더니 "도저히 살아나올 수 없는 곳"

728x90
뉴스버스
 
 

국조특위 여야 위원, 합참·수방사 벙커 현장 조사

우원식 등 알려진 14명 외에 체포대상 더 있었다…"50여명 구금 검토돼"

"여인형, B1벙커 특정해 지시…적당치 않다는 보고에 활용 무산"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성원(왼쪽),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간사가 21일 국회 소통관에서 수방사 B1 벙커 등 에 대한 1차 현장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21일 합동참모본부와 수도방위사령부를 찾아 1차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특위 소속 여야 위원 전원은 이날 서울 용산구에 있는 합참 지휘통제실 내 결심지원실(결심실), 계엄상황실에 이어 수방사 B1 벙커를 차례로 둘러봤다.

합참 지휘통제실은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국회 가결 후 윤석열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등과 회의를 한 곳으로 알려져 있고, 수방사 B1 벙커는 계엄군에 체포된 정치인들의 구금 장소로 검토된 공간이다.

특위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김성원·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이날 현장 조사 후 국회 소통관에서 연 브리핑에서 계엄 당시 B1 벙커에 50명가량의 구금을 검토한 정황이 있었다는 취지의 조사 결과를 밝혔다.

한 의원은 "B1 벙커에서 주요 정치인을 구금하려고 시도한 공간을 확인했다"며 "계엄 당일인 지난달 3일 오후 11시 30분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이 군사기밀수사실장을 불러 B1 벙커를 특정하며 50여 명 구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김 전 장관 등의) 공소장엔 체포·구금 대상 주요 인물은 우원식 국회의장, 민주당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당시 대표 등 14명이라고 돼 있지만 실제 검토됐던 인원은 훨씬 더 많았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군사기밀수사실장이 여 전 사령관과 통화한 직후 B1 벙커 현장을 바로 확인하고 구금 시설로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해 보고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 이어서 글 전체보기 >
이재명·한동훈 가두려한 B1벙커 가봤더니 "도저히 살아나올 수 없는 곳" < 이슈 < 기사본문 - 뉴스버스(Newsverse)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