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특위 여야 위원, 합참·수방사 벙커 현장 조사
우원식 등 알려진 14명 외에 체포대상 더 있었다…"50여명 구금 검토돼"
"여인형, B1벙커 특정해 지시…적당치 않다는 보고에 활용 무산"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21일 합동참모본부와 수도방위사령부를 찾아 1차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특위 소속 여야 위원 전원은 이날 서울 용산구에 있는 합참 지휘통제실 내 결심지원실(결심실), 계엄상황실에 이어 수방사 B1 벙커를 차례로 둘러봤다.
합참 지휘통제실은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국회 가결 후 윤석열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등과 회의를 한 곳으로 알려져 있고, 수방사 B1 벙커는 계엄군에 체포된 정치인들의 구금 장소로 검토된 공간이다.
특위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김성원·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이날 현장 조사 후 국회 소통관에서 연 브리핑에서 계엄 당시 B1 벙커에 50명가량의 구금을 검토한 정황이 있었다는 취지의 조사 결과를 밝혔다.
한 의원은 "B1 벙커에서 주요 정치인을 구금하려고 시도한 공간을 확인했다"며 "계엄 당일인 지난달 3일 오후 11시 30분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이 군사기밀수사실장을 불러 B1 벙커를 특정하며 50여 명 구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김 전 장관 등의) 공소장엔 체포·구금 대상 주요 인물은 우원식 국회의장, 민주당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당시 대표 등 14명이라고 돼 있지만 실제 검토됐던 인원은 훨씬 더 많았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군사기밀수사실장이 여 전 사령관과 통화한 직후 B1 벙커 현장을 바로 확인하고 구금 시설로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해 보고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 이어서 글 전체보기 >
이재명·한동훈 가두려한 B1벙커 가봤더니 "도저히 살아나올 수 없는 곳" < 이슈 < 기사본문 - 뉴스버스(Newsverse)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 미국 "중국인 간첩 가짜 뉴스 제발 그만 하라" 이례적 반박 (0) | 2025.01.22 |
---|---|
尹, 헌재 출석 왜?…불리한 증언 '입틀막'과 지지자 결집 의도 (0) | 2025.01.22 |
[단독] '중국인 99명 체포' 가짜뉴스 이렇게 만들어졌다 (0) | 2025.01.22 |
다보스포럼' 참석한 김동연 "'트럼프 2기 대응 비상체제' 즉시 가동하자" (0) | 2025.01.22 |
尹 "총 쏠수 없나" 묻자, 경호차장 "알겠습니다"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