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재학 기자
[1월 27일 뉴스버스 픽 경제뉴스]
"세금 감면으로 세입 약화"…올해 '조세지출' 비중 10년來 최고
직장인 상여금 평균 1,069만원...상여금도 양극화, 상위 0.1%는 6억원↑
1. 우리銀, 가산금리 최대 0.29%p↓·KB銀, 고정금리 0.04%p↓
기준금리 하락 효과를 서민들이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결국 은행들이 대출 금리 인하에 나섰다. 금융당국이 "이제 대출 금리를 낮출 때가 됐다"고 경고하고, 야당까지 가산금리 산정체계 관련 은행법 개정을 서두르면서 은행권이 인하 행렬에 동참하기 시작한 것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연휴 직후인 31일자로 주요 가계대출 상품의 가산금리를 최대 0.29%포인트(p) 낮추기로 했다. 상품별 인하 폭은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코픽스 지표금리) 0.20%포인트(p) ▲전세자금대출 0.01∼0.29%p ▲신용대출금리 0.23%p 등이다.
은행의 대출 금리는 은행채 금리·코픽스(COFIX) 등 시장·조달금리를 반영한 '지표(기준)금리'와 여기에 은행들이 임의로 덧붙이는 '가산금리'로 구성된다. 은행들은 가산금리에 업무원가·법적비용·위험 프리미엄 등이 반영된다고 설명하지만, 주로 은행의 대출 수요나 이익 규모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은행권은 지난해 3분기 이후 가계대출 수요 억제를 명분으로 대출 가산금리를 계속 올리다가 약 반년만인 이달 13일 신한은행이 최대 0.3%p 가산금리를 낮추면서 인하 경쟁을 시작했다.
KB국민은행도 27일에 은행채 5년물 금리를 지표로 삼는 가계대출 상품의 금리를 0.04%p 낮춘다. 가산금리 인하는 아니지만, 시장금리 하락분을 최대한 빨리 대출금리에 반영하자는 취지다. 이에 따라 24일 기준 연 3.86∼5.26% 수준인 KB국민은행 고정금리(혼합·주기형) 가계대출 금리는 연 3.82∼5.22%로 낮아진다.
앞서 13일 SC제일은행은 '퍼스트홈론'의 영업점장 우대금리를 0.1%p 올려 사실상 대출 금리를 0.1%p 내렸고, IBK기업은행도 17일부터 대면 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금리 산정 과정에서 영업점장이 재량에 따라 깎아 줄 수 있는 금리의 폭을 상품에 따라 기존 수준보다 최대 0.4%p 키웠다.
2. 올해 조세지출 예산 78조원, 9.2%↑…전체 정부 지출 중 10.3%
올해 정부의 전체 지출 가운데 ‘조세지출’ 비중이 201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조세지출은 정부가 세금을 깎아주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간접 재정지출이다.
26일 국회 예산정책처가 내놓은 ‘2024년 세법개정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체 정부지출(재정+조세지출) 예산 중 조세지출 비중이 10.3%로 집계됐다. 올해 조세지출 예산은 78조원으로 지난해(71조4,000억원)보다 9.2%(6조6,000억원) 늘었다.
조세지출을 제외한 재정지출 예산은,...
< 이어서 글 전체보기 >
[오늘의 경제뉴스] 당국 "낮출 때 됐다" 한마디에…우리·KB 이번 주 대출금리 줄인하 < 오늘의 경제뉴스 < 경제와 산업 < 기사본문 - 뉴스버스(Newsverse)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경제뉴스] 100년 넘게 주인 없는 땅 국유화 추진…여의도 188배·2조2,000억원 규모 (0) | 2025.01.31 |
---|---|
윤석열 술고문서 해방된 재벌 총수들…'만세!' 속으로 웃는다 (0) | 2025.01.31 |
[오늘의 경제뉴스] 작년 628만명 거주지 옮겨…국내 주택 매매 늘며 4년 만에 증가 (0) | 2025.01.31 |
[오늘의 경제뉴스] 지난해 전국 땅값 2.15% 올라…제주 땅값 2년 연속 하락 (0) | 2025.01.31 |
[오늘의 경제뉴스] 트럼프 "718조원 AI 투자"에 반도체株 '활짝'…반년 만에 '22만닉스'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