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오늘의 경제뉴스] 100년 넘게 주인 없는 땅 국유화 추진…여의도 188배·2조2,000억원 규모

728x90
고재학 기자
 

[2025년 1월 28일 뉴스버스 픽 경제뉴스]

지난해 자산별 수익률, 금·비트코인 '대박'…부동산·주식은 '쪽박'

지난해 서울 분양가 평당 908만원 올랐다…상승률 25.9% '역대 최고'

설 연휴 셋째 날인 27일 오후 광주 서구 상무지구에 눈이 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 "400억 명동 땅(315평) 주인 찾아요"…권익위, 연내 특별법 마련

정부가 주인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 미등기 토지에 대한 국유화를 추진한다. 해당 토지 규모는 544㎢(63만 필지)로 여의도(2.9㎢)의 약 188배, 국내 토지 면적의 약 1.6%다. 공시지가 기준으로 2조2,000억원이 넘는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7일 미등기 토지에 대해 진짜 소유자가 나타나면 간단히 등기할 수 있게 하고, 남은 토지는 국가가 관리하도록 하는 특별법(미등기 사정토지 국유화 특별법)을 마련해 법무부를 비롯한 7개 부·처·청에 제도 개선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미등기 사정(査定) 토지는 일제강점기 토지 조사 당시 소유자와 면적·경계가 정해졌으나 소유자의 사망이나 월북 등의 이유로 100년 넘게 등기가 이뤄지지 않은 땅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등기가 아닌 계약만으로도 소유권 이전이 가능했다. 이후 1960년 민법 시행으로 등기가 의무화됐으나 비용 문제 등으로 등기하지 않은 사례도 많았다. 여기에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속자가 누구인지 알기 어렵거나 월북자·사망자가 소유자로 남아있는 경우가 생겼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땅값이 비싼 곳인 서울 중구 명동에도 소유권이 불분명한 미등기 사정토지가 3필지(약 1,041㎡)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땅의 감정평가액은 약 400억원이다.

대법원은 토지 소유권을 국민의 중요한 재산권으로 보고 사정명의인(초기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의 권리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점유자가 등기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런 토지가 공공·민간 개발 사업에 포함되면 소유권을 확인할 수 없어 사업이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일이 생긴다. 또 주변 땅의 가치도 떨어지고, 불법 쓰레기 투기장 문제도 나타난다. 권익위는 미등기 사정토지 관련 민원이 2012년 이후 약 7,000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권익위가 이번에 마련한 특별법은 미등기 토지에 대해 초기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이나 그 상속자에게 우선 등기 기회를 주고, 나머지 땅은 국가가 소유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후에 진짜 소유자가 나타나면 소유권을 돌려주거나 돌려줄 수 없는 경우에는 보상금을 지급한다.

아울러 권익위는 법무부·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행정안전부·법원행정처·조달청에 특별법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지원하라고 권고했다. 유철환 권익위원장은 "미등기 토지를 정리하면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민간 토지 개발사업도 더 빨리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관련 부처들과 협업해 금년 말까지 법률을 제정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 1년 새 비트코인 134%↑∙금 48%↑…KODEX200 -7.43%∙부동산 0.23%↑

지난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낸 재테크 자산은 비트코인과 금이었다. 주식과 부동산, 엔화 투자는 별다른 소득이 없거나 오히려 손실을 봤다.

27일 대신증권이 지난해 초부터 이달 23일까지 자산별 재테크 수익률을 집계한 결과,...

< 이어서 글 전체보기 >
[오늘의 경제뉴스] 100년 넘게 주인 없는 땅 국유화 추진…여의도 188배·2조2,000억원 규모 < 오늘의 경제뉴스 < 경제와 산업 < 기사본문 - 뉴스버스(Newsverse)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