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4일 뉴스버스 픽 경제뉴스]
올해 서울 아파트 공시가 7.86%↑…일부 강남권 보유세 30%대 뛸 듯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강남3구 아파트값, 2018년 이후 최대폭 상승
'주주에 대한 이사 충실의무' 상법 개정안, 野주도 국회 통과

1. 초중고생 80%가 사교육, 月평균 59.2만원…소득별 격차 최대 3.3배
지난해 초·중·고교생 사교육비가 29조원을 넘어서며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1인당 월평균 지출액은 물론 참여 시간도 늘었다. 정부가 약 3,000개 초·중·고교 학생 7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이다.
13일 교육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조1,000억원(7.7%) 증가했다. 1년 새 학생 수는 521만명에서 513만명으로 8만명(1.5%) 줄었는데 사교육비 총액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사교육비 총액 규모는 2021년(23조4,000억원), 2022년(26조원), 2023년(27조1,000억원)에 이어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중 초등학교는 13조2,000억원, 중학교 7조8,000억원, 고등학교 8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증가폭은 중학교가 9.5%로 가장 컸고 이어 고등학교(7.9%), 초등학교(6.5%) 순이었다.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보다 1.5%포인트(p) 상승한 80.0%로 역대 최고치였다. 초등학교 사교육 참여율이 1.7%p 상승한 87.7%로 가장 높았다. 중학교는 2.7%p 오른 78.0%, 고교는 0.9%p 증가한 67.3%다. 학년별 참여율은 초등학교 2학년이 90.4%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 1학년(80.0%), 고교 1학년(70.2%)이 뒤를 이었다.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은 중학교·초등학교(각 7.8시간), 고교(6.9시간) 순이었다.
사교육 참여 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9만2,000원으로 7.2% 늘었다. 초등학교는 50만4,000원(9.0%↑), 중학교 62만8,000원(5.3%↑), 고교 77만2,000원(4.4%↑)이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많았다.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은 67만6,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300만원 미만' 가구는 20만5,000원으로 최저였다. 전체 학생 기준 서울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7만3,0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가장 낮은 전남(32만원)과 2.1배 차다.
2. 강남3구 10%대 오를 때 도봉·강북 '1%대'…종부세 대상 31.8만가구
올해 아파트를 비롯한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작년보다 3.65% 올랐다. 서울 아파트 공시가격은 7.86% 올랐지만 세종은 3.28%, 대구는 2.90% 내렸다. 반포, 압구정 등 아파트값이 급등한 강남권에선 올해 보유세 부담이 20∼30%가량 오를 전망이다. 올해 1가구1주택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대상인 공시가격 12억원 초과 주택 수는 31만8,308가구(2.04%)로, 작년(26만6,780가구) 대비 5만1,528가구 늘었다.

국토교통부는,,..
< 이어서 글 전체보기 >
[오늘의 경제뉴스] 작년 사교육비 29조 '역대 최고'…학생 8만명 줄었는데 2조 더 썼다 < 오늘의 경제뉴스 < 경제와 산업 < 기사본문 - 뉴스버스(Newsverse)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경제뉴스] 오세훈이 들쑤셔 놓은 집값…토허제 풀린 뒤 강남 거래량 ‘껑충’ (1) | 2025.03.18 |
---|---|
[오늘의 경제뉴스] 여야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3%' 합의…"자동조정장치는 안돼" (0) | 2025.03.18 |
[오늘의 경제뉴스] 상속세, 각자 받은 재산만큼 낸다…정부, 75년만 상속세 대수술 (0) | 2025.03.13 |
[오늘의 경제뉴스] 종신보험 사망보험금 생전에 연금처럼 받는다…12조원 유동화 (0) | 2025.03.13 |
[오늘의 경제뉴스] KDI "경기 하방 위험 확대…車·철강 등 美 관세 위험에 노출” (0) | 2025.03.13 |